Post

클라우드 개념 정리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컴프팅 서비스에는 가상 머신,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킹 등이 포함된다.

책임 공유 모델

 책임SaaSPaaSIaaSOn-premise 
 정보 및 데이터사용자사용자사용자사용자 
 디바이스사용자사용자사용자사용자 
 사용자 계정 및 ID사용자사용자사용자사용자 
 ID 및 인프라사용자/공급자사용자/공급자사용자사용자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공급자사용자/공급자사용자사용자 
 네트워크 제어공급자사용자/공급자사용자사용자 
 운영 체제공급자공급자사용자사용자 
 물리적 호스트공급자공급자공급자사용자 
 물리적 네트워크공급자공급자공급자사용자 
 물리적 데이터센터공급자공급자공급자사용자 

클라우드 모델

1. 프라이빗 클라우드

프라이빗클라우드 외부 클라우드 사업자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직접 구축한다는 점에서 자체 인프라 구축과 동일하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의 차이

온프레미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클라우드의 핵심 능엵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이다.
클라우드의 핵심능력은 신속함, 확장성으로 기업의 서비스에 사용자가 몰리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해당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증설해 빠르게 서비스를 안정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온프레미스는 이것이 어려우며, 새로 주문하고 이를 설치하기 까지 보통 1~2주의 시간이 소요되어 서비스의 안정이 힘들다.

이러한 신속함을 갖추기 위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두가지 핵심 기술을 갖추고 있다.
첫번 째는 가상화이며, 가상화란 솔루션을 통해 하나의 거대한 인프라 파워로 환산하는 기술로 이 인프라 내에서
가상의 네트워크 장치, 서버,스토리지등을 생성한 후에 이를 조합하여 가상머신을 만들고,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가상화된 인프라 속에서 가상머신을 자유롭게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클라우드 관리스택이 필요하다.

  1. 퍼블릭 클라우드 퍼블릭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는 고객이 물리적 서버를 구매하거나 설치할 필요가 없다.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가장 큰 차이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한 조직만을 위하여 운영되는 반면
    퍼블릭은 다수의 대중을 위하여 인터넷 기반으로 운영된다는 것입니다.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되어 있는 기업의 내부환경과 외부의 클라우드를 연동하여 내부적으로 안전한 정보를 보관하고,
    기본 및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클라우드를 활용해 유연하게 컴퓨팅 하는 기술이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